오월 인사이트(Owwl's Insight)

주가는 예측할 수 있을까?
정답은 “아니오”(No) 이다. ㅋㅋㅋ 끝?
재미있는 추가 질문을 해보자.
“주가는 예측할 수 없는데, 그럼
워렌버핏과 같은 성공한 투자자는 왜 존재하는가?”
오답부터 살펴보자.
낡은 교과서와 이론에 빠져있는 일부 상아탑 학자들은
“주사위 던지기로 주식을 고르는 오랑우탄 무리 중에서도
수십 년간 시장을 이기고 주식투자만으로 세계 1등의 부자가 되는
워렌버핏 오랑우탄이 존재할 확률이 0%가 아니기 때문에,
순전히 운(Lucky)에 의해서 워렌버핏이 존재한다”고 답한다.
“여러분은 이 학자의 주장에 동의하는 가?”
뉴턴역학을 창시할 정도로 똑똑한 학자였던 뉴턴은
실제 주식투자에서 큰 실패를 해서 파산을 했다고 한다.
아마, 뉴턴역학의 지식만 믿고 있는 사람들은
뉴턴의 실패가 단지 불운(Unlucky) 때문이라고 여길지도 모른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뉴턴역학이 설명하지 못했던
오류 부분까지도 완벽하게 설명을 해내며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그런 아인슈타인조차도 양자역학의 해석을 놓고 오류가 있는 주장을 펼쳤다.
그중 양자역학의 아버지 닐스보어와의 신의 주사위 놀음에 관한 이야기가 재밌다.
“여러분의 세상(신)은 어떠한가?”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결정론적 이론이다.
이 이론만을 믿는다면 세상(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고
정확한 공식에 의해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마치 뉴턴과 아인슈타인 확언했던 것처럼~!
반면, 양자역학 이론은 확률적 요소로 인한 비결정론적 이론을 다룬다.
이 이론에 비춰 다시 한 번 생각해본다면 ‘세상(신)은 상습 주사위 놀음꾼이고,
미래는 예측할 수 있는 방법 자체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과연 무엇이 정답일까?
프랙탈 패턴을 발견한 '카오스 이론' 연구학자
<카오스 이론>은 단어 자체가 주는 강렬한 메시지가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정확한 물리학 공식을 모두 알고 있어도
세상의 움직임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너무나 복잡한 카오스(혼돈)이
발생하기 때문에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결론을 내린다.
‘주가는 예측할 수 없다’라는 결론은
이 카오스 이론에서 이야기하는 ‘미래 예측 불가’ 결론과 일맥 상통한다.
그런데 이런 결론을 이끌었던 <카오스 이론>을
연구하던 학자들에 의해 너무나도 재미있는 현상이 하나 발견됐다.
무질서해 보이는 혼란, 혼돈의 양상 속에서도
일정한 패턴(끌개)을 보이는 ‘이상한 안정성’
즉, 질서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해낸 것이다.
이 세상의 혼돈의 양상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모든 혼돈에는 반드시 끌개가 존재하는데 이를 ‘프렉탈 구조”라고 한다.
(Fractal, 자기유사성, 특정한 부분이 전체를 반복해서 질서를 이루는)
그럼 세상에는 이런 ‘프렉탈 패턴’이 왜 존재하는 것일까?
자, 이제 추가질문에 답을 할 시간이다.
“주가는 예측할 수 없는데, 그럼
워렌버핏과 같은 성공한 투자자는 왜 존재하는가?”
이 글에서 잠시 언급했던 뉴턴역학,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카오스이론은 신기하게도 모두 다
세상을 잘 설명하며 그런 의미에서는 옳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던 유명 학자들의 이야기만 봐도
'이 모든 것이 다 옳을 수가 있는 건가?' 하는 의문을 품게 된다.
이때, <초끈 이론>이 등장했다.
그동안의 모든 이론들을 하나의 이론으로
모순 없이 통합할 수 있는 이론이자 ‘모든 것의 이론
(Theory of Everything)’의 강력한 후보 중에 하나이다.
<초끈 이론>은 입자 간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는
단 하나의 수식으로 세상만사를 모두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다.
여기서는 상대성이론, 양자역학이 모순 없이 통합되고
결정론적인 시스템과 비결정론적인 시스템 그리고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카오스(혼돈) 마저도 설명을 해낸다.
그런데, 혼돈 속의 질서인 끌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 초끈 이론의 해석에 한 가지 새로운 생각을 넣어야 한다.
우리가 확률적 요소(Random)라는 것을 말할 때는
수학적인 정의인 완전한 우연을 당연하게 생각한다.
하지만, 만일 초끈 이론에 포함되어 있는 이 확률적 요소가
완전한 것처럼 보이는 질서 우연(Pseudo Random)라면 어떻게 될까?
아니면 반대로 생각해서 확률적 요소가 완전한 우연이라면,
카오스이론에서 발견해낸 세상에 존재하는 끌개패턴을 설명하기 쉽지 않다.
오히려, 질서 우연이어야만 끌개 패턴의 발생을
포함해서 세상을 더욱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나는 오랜 연구에서 우리가 경험하는 세상은
초끈 이론을 양자 컴퓨팅으로 계산하고 있는 과정이라고 믿게 되었다.
그리고 이 양자 컴퓨팅에도 일반 컴퓨팅이 그런 것처럼
완전한 우연은 존재하지 않고 질서 우연만 존재한다고 믿게 되었다.
이런 믿음에 근거해 위 질문에 답을 해보면,
워렌버핏과 같은 성공한 투자자가 존재하는 이유는
일부 학자들의 주장처럼 완전한 우연 때문은 아니며,
-
예측 불가능한 주가의 움직임에서 끌개 패턴을 예측하고 찾아낼 수 있는 지능이라는 게 존재하고,
-
그런 지능을 갖게 된 워렌버핏과 같은 존재는 진화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
그 지능이 갖고 있는 생존의 유리함 때문에 후대에도 이러한 지능은 계속 살아남을 것이다
나는 이것은 진화적으로 안정적 기질(투자 지능)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주식투자 실패로 파산한 뉴턴 이야기처럼
우리가 어떤 이론과 주장을 너무 쉽게 믿었을 때 겪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런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간단한 질문이었는데
이 글처럼 조금 긴 이야기로 답변을 정리하게 되었다.
우리가 이러한 투자 지능을 갖고 태어났다면 다행이지만,
만일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투자에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로 정리를 해 보려 한다. Continu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