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 인사이트(Owwl's Insight)

세계 최대 사모펀드 블랙스톤 그룹 산하의
Private Wealth Solutions Group 부회장인 바이런 윈은
모건 스탠리에서 일할 당시인 1986년부터
매년 초에 "10 Surprises of the year" 라는 투자 전망을 해왔습니다.
적중률이 높아 투자 업계에서 '투자지침서'라고 불리며
매년 주목받고 있는 전망들이죠.
한 번 10가지 모두 살펴보겠습니다.

1. 기업들이 높은 실적을 내지만 금리 상승 때문에 2022년 S&P500 지수는 상승하지 못 한다.
가치주가 성장주를 능가하고, 높은 변동성이 유지되며 조장장이 오겠지만 20% 넘게 하락하지는 않을 것이다.
☞ 금리상승기에는 주식이나 가상화폐 같은 자산들은 주춤함, 그래서 성장주보다는 가치주가 좋다고 합니다.
2. 일부 상품은 가격이 하락하지만, 임금이나 임대료는 계속 올라 소비자 물가 지수를 포함한 물가 상승률이 4.5%를 찍을 것이다.
운송비와 에너지 가격이 하락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은 올해 장기화될 이슈다.
☞ 물류 대란이랑 소비 증가로 인플레이션이 오고 있는데, 통화 정책으로 해결이 가능할지 주목해야 합니다.

3. 채권 시장이 인플레이션과 테이퍼링에 반응하기 시작해, 미 10년 만기 채권 금리가 2.75%까지 올라갈 것이다.
그리고 미 연준은 2022년에 테이퍼링을 마무리하고 금리인상을 4번 할 것이다.
☞ 미 연준의 금리인상과 테이퍼링 같은 통화 정책이 세계 경제에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는 대목.
4. 오미크론 변종에도 불구하고, 연말까지는 코로나19 이전처럼 모임도 가지고 미팅도 가능할 것이다.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모두에게 문제지만, 미국에서는 대부분 회복될 것이다.
사람들은 일주일에 3~4일을 일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스포츠나 극장, 콘서트를 즐길 듯.
☞ 오미크론 치사율 낮음, 치사율만 낮아지면 위드코로나 가능.

5. 중국은 주택 투기를 억제하고, 부동산 시장 혼란에 대응하고 있다.
그 결과, 부동산에 있던 자금들이 대체 투자 상품을 찾아 이동할 것이며,
중국에서 자산운용업이 번창하면서 서구 기업들에게 기회가 생길 것이다.
☞ 서구 기업들이 100% 지분을 가진 회사를 세울 수 있게 허용했기 때문. 얼마 전에는 자동차 분야도 오픈함.
6. 금값이 20% 정도 오르며 최고가를 찍을 것. 미국 증시가 상승했음에도, 투자자들은 가격 상승과 변동성에 대한 헷지 용도로
안전한 금을 선택할 것이다. 가상화폐가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가도, 금은 부자들의 안식처라는 타이틀을 되찾을 것이다.
☞ 비트코인이 금을 대체할 것이란 의견도 많아서, 이건 판단을 잘해야 할 듯.
7. 주요 산유국들은 유가가 높아지면 대체 에너지 도입이 빨리지고 미국 셰일 가스 업체의 수익이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수요를 충족할 정도의 원유를 생산하고 있지 않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 가격이 배럴당 100달러를 넘을 것이다.
☞ 유가는 계속 오르는 중, 카자흐스탄에서는 연료비 상승으로 대규모 시위가 벌어짐.
8. 원자력 발전이 미래 에너지원으로 떠오를 것이다. 안전성이 확인돼 원자력에 대한 두려움이 낮아지고 있고, 활용도 또한 인정받고 있다.
미국 중서부에서는 이미 원자력 개발이 승인됐다.
☞ EU에서도 원자력을 녹색산업으로 분류함.

9. ESG의 중요성이 커질 것이다. 정부 기관들이 새로운 규제를 시행하고, 새로운 시대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문서들을
미국 상장사들에 요구할 것이다. 미 연준은 기후가 변하더라도 금융 기관이 망하지 않게 관리할 것.
☞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 (Social)를 해치는 의사결정(Governance)을 해서는 안 된다는 뜻.
10. 미국은 곧 리튬 배터리를 충분히 살 수 없다는 것을 알 게 될 것이고, 전기 자동차 생산에 차질이 생길 것이다.
중국이 코발트 · 리튬 · 니켈 시장을 통제하고 있고, 대부분을 자국에서 쓰려고 남겨두려고 할 것이다.
☞ 전기차 핵심 소재인 리튬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 배터리를 못 만들어 전기차 생산을 할 수가 없음.
짧은 문장들로 10가지 2022년 이슈들을 설명했는데
적중률이 높다고 하니, 염두에 두고 투자를 하는게 좋겠죠?